카테고리 없음

자살위험 환자, 간호사는 어떻게 대처할까?

간호학study 2025. 8. 16. 13:47
반응형

자살위험 환자 간호는 정신간호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 중 하나입니다. 자살은 예방 가능한 위기이며, 간호사는 환자의 위험 신호를 조기에 파악하고 신속하게 대응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살위험 환자를 만났을 때 간호사가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를 실무 중심으로 안내합니다.

1. 자살위험 신호 파악

  • 자살 사고 언급: “죽고 싶다”, “존재 의미가 없다”는 표현
  • 유서 작성, 소지품 정리, 작별 인사 등 행동 변화
  • 갑작스러운 평온함: 오히려 자살 결심 후 보일 수 있는 신호
  • 과거 자살 시도, 중독 병력, 정신질환 병력 확인

2. 자살 사정 도구 활용

보통 다음 항목들을 기준으로 자살위험도를 분류합니다:

  • 계획 유무
  • 수단의 구체성
  • 의도 및 충동성
  • 가족 또는 지지체계 존재 여부

고위험군일 경우에는 1:1 관찰 및 즉각적인 보호 조치가 필요합니다.

3. 치료적 의사소통 전략

  • 직접적으로 질문하기: “자살을 생각하고 계신가요?”
  • 비판 없이 경청하고, 감정을 반영하는 말 사용
  • 두려움보다는 지지와 연결감을 느낄 수 있도록 표현

4. 환경 안전 점검

  • 날카로운 물건, 끈 종류, 약물 등 제거
  • 욕실·화장실 사용 시간 제한 또는 동행
  • 보호 병실 배정 고려

5. 다학제 연계 및 기록

  • 정신과 전문의, 사회복지사, 가족과 협력
  • 사정 내용, 중재, 환자 반응 등을 정확히 기록

자살위험 환자 간호는 환자의 생명을 지키는 중대한 간호 행위입니다. 전문성과 동시에 따뜻한 인간적 접근이 필요하며, 간호사의 민감한 관찰력과 대처 능력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관련 지침은 대한간호협회 홈페이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