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계성 인격장애 환자와의 소통법은 감정 기복이 심하고 대인관계가 불안정한 특성을 가진 환자와의 상호작용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간호사는 일관되고 안정적인 태도를 유지하면서, 환자의 감정을 수용하고 경계를 설정하는 균형 잡힌 접근이 필요합니다.
1. 경계성 인격장애의 주요 특징
- 감정의 급격한 변화와 충동성
- 버림받는 것에 대한 극심한 두려움
- 흑백논리(이분법적 사고)
- 자해 행동 및 자살 사고 반복
2. 효과적인 소통 전략
- 일관성 유지: 간호사 간 메시지와 태도가 일치해야 환자가 혼란을 느끼지 않습니다.
- 감정 수용: 환자의 감정을 인정하고 경청하되, 비판하거나 훈계하지 않습니다.
- 경계 설정: 지나친 의존을 예방하기 위해 명확한 한계를 설정하고, 개인적인 감정 이입은 자제합니다.
- 행동 중심 피드백: "그렇게 느끼셨군요"와 같이 감정을 반영하되, 행동에 대한 객관적 피드백도 함께 제공합니다.
3. 자해 행동 시 대처법
- 응급처치 후, 감정적으로 과잉 반응하지 않고 차분하게 접근
- 자해를 처벌하거나 무시하지 않고, 그 의미를 탐색하도록 유도
- 자해를 대체할 수 있는 감정 조절 방법(이완기법 등) 교육
4. 다학제 협력과 교육
정신과 의사, 임상심리사, 사회복지사와 협력하여 환자의 지속적인 치료 계획을 공유하고, 간호사도 팀의 일원으로 적극 참여합니다. 또한 보호자 교육을 통해 환자의 대인관계 이해를 돕는 것도 중요합니다.
경계성 인격장애 환자와의 소통법을 익히면, 혼란스럽고 감정적으로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전문적이고 안정적인 간호를 실천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자료는 대한간호협회 홈페이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